반응형

자바스크립트에서 가장 중요한 건 뭐냐면, 바로 함수와 객체야. 이 두 개를 정복하면 JS의 세계가 훨씬 넓어지고, 원하는 걸 다 할 수 있게 돼. 이제부터 그 방법을 한번 알아보자.

1. 함수의 기본

1.1 함수 선언과 호출

함수는 특정 작업을 수행하는 코드 블록이야. function 키워드로 선언하고, 이름과 괄호()를 붙여서 호출하면 돼.

예시:

function greet() {
  console.log('안녕, 자바스크립트!');
}

greet();  // 안녕, 자바스크립트!

1.2 파라미터와 아규먼트

함수는 파라미터를 받아 그걸로 뭔가를 처리할 수 있어. 파라미터는 함수 선언할 때 정의하고, 함수 호출할 때 아규먼트를 넘겨줘.

예시:

function add(a, b) {
  console.log(a + b);
}

add(5, 3);  // 8

1.3 화살표 함수

ES6에서 새로 도입된 화살표 함수는 코드를 더 간결하게 만들어 줘. function 키워드 없이도 함수를 선언할 수 있어.

예시:

const multiply = (x, y) => {
  console.log(x * y);
}

multiply(3, 4);  // 12

2. 객체와 배열

2.1 객체 리터럴

객체는 키와 값을 한 데 묶어 놓은 복합 데이터 타입이야. 중괄호 {}를 사용해 객체 리터럴을 생성하고, 점 또는 대괄호로 속성에 접근할 수 있어.

예시:

const student = {
  name: '홍길동',
  age: 20
};

console.log(student.name);  // 홍길동

2.2 배열 메서드

배열은 여러 값을 순서대로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이야. 배열 메서드를 사용해서 배열을 조작할 수 있어.

예시:

const numbers = [1, 2, 3, 4, 5];
const doubled = numbers.map(num => num * 2);
console.log(doubled);  // [2, 4, 6, 8, 10]

2.3 JSON

JSON은 JavaScript Object Notation의 준말이야.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많이 쓰이는 포맷이지.

예시:

const jsonString = '{"name":"홍길동","age":20}';
const jsonObject = JSON.parse(jsonString);
console.log(jsonObject.name);  // 홍길동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