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
1. 변수와 상수

JavaScript에서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변수와 상수를 사용해. 변수는 let으로 선언하고, 상수는 const로 선언해.

변수 예시:

let name = "John";
console.log(name); // John
name = "Jane";
console.log(name); // Jane

상수 예시:

const pi = 3.14;
console.log(pi); // 3.14
// pi = 3.1415; // 이렇게 하면 에러가 날 거야, 상수의 값을 바꿀 수 없으니까!

2. 데이터 타입

JavaScript에는 여러 가지 데이터 타입이 있어. 문자열, 숫자, 불리언, 객체, 배열, null, undefined 등이 그 예시야.

데이터 타입 예시:

let string = "Hello, JavaScript!";
let number = 42;
let boolean = true;
let object = {name: "Alice", age: 30};
let array = [1, 2, 3, 4, 5];
let nothing = null;
let unknown;

console.log(typeof unknown); // undefined

3. 연산자

JS에는 다양한 연산자가 있어. 산술, 비교, 논리 연산자 등을 사용해서 계산하고 값을 비교할 수 있지.

연산자 예시:

console.log(5 + 5); // 10
console.log(10 - 5); // 5
console.log(5 * 5); // 25
console.log(10 / 5); // 2
console.log(10 % 3); // 1

console.log(5 == "5"); // true
console.log(5 === "5"); // false
console.log(5 < 10); // true
console.log(10 > 5); // true
console.log(10 <= 10); // true

console.log(true && true); // true
console.log(true || false); // true
console.log(!true); // false

4. 조건문과 반복문

조건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만 코드를 실행하게 해주고, 반복문은 코드를 여러 번 반복해서 실행하게 해줘.

조건문 예시:

let age = 18;

if (age >= 20) {
    console.log("성인이야.");
} else {
    console.log("미성년자야.");
}

// 미성년자야.

반복문 예시:

for (let i = 0; i < 5; i++) {
    console.log(i); // 0, 1, 2, 3, 4
}

 

 

반응형